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윌리엄 모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윌리엄 모리스는 19세기 영국의 예술가, 디자이너, 작가, 사회주의자였다. 그는 1834년 런던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했고, 존 러스킨의 영향을 받아 예술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모리스는 라파엘 전파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중세 시대의 수공예와 예술을 부활시키려는 '아츠 앤 크래프츠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모리스 상회'를 설립하여 벽지, 직물, 가구 등을 디자인하고 제작했으며, 켈름스콧 프레스를 통해 아름다운 책을 출판했다. 모리스는 사회주의 사상에 공감하여 사회주의 동맹을 결성하고, 노동자들의 권익을 위해 활동했다. 그의 디자인 철학은 아르누보, 바우하우스 등 후대 예술 사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과 사상은 오늘날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디자이너 - 잔드라 로즈
    잔드라 로즈는 독창적인 디자인과 강렬한 스타일로 국제 패션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1970년대 런던을 세계 패션의 중심으로 만드는 데 기여한 영국의 패션 디자이너이자 패션 직물 박물관 설립자이다.
  • 영국의 디자이너 - 토마스 헤더윅
    영국의 디자이너이자 헤더윅 스튜디오의 설립자인 토마스 헤더윅은 건축,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는 디자인을 추구하며 상하이 엑스포 영국관, 런던 올림픽 성화대 등 혁신적인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현대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라는 평을 받는다.
  • 잉글랜드의 공산주의자 - 로버트 콘퀘스트
    로버트 콘퀘스트는 소련과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로 알려진 영국과 미국의 시인이자 작가, 역사가로, 스탈린의 대숙청과 우크라이나 대기근을 다룬 저서를 통해 소련의 억압적인 통치를 폭로하여 논쟁을 일으켰다.
  • 잉글랜드의 공산주의자 - 실비아 팽크허스트
    영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이자 사회주의자, 반제국주의자, 저술가, 예술가였던 실비아 팽크허스트는 여성사회정치연맹(WSPU) 활동 후 동런던 여성참정권운동 연맹(ELFS)을 설립하여 독자적인 운동을 전개했으며, 반전 운동 참여, 사회적 지원 활동, 소비에트 러시아 혁명 지지, 에티오피아에서의 반파시즘 운동 등 사회 변혁을 위해 노력했다.
  • 영국의 문화 - 가이 포크스 가면
    가이 포크스 가면은 가이 포크스의 음모 기념 행사에서 유래되어 어린이들에게 판매되다 《V 포 벤데타》를 통해 정치적 저항의 상징이 되었고, 익명성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권력에 대한 저항과 반란의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 영국의 문화 - 할로윈
    할로윈은 만성절 전날 저녁을 의미하는 "All Hallows' Eve"에서 유래되었으며, 켈트족의 삼하인 축제와 기독교의 만성절 전야제가 융합되어 아이들이 의상을 입고 집집마다 다니는 "트릭 오어 트리트" 풍습과 함께 기념되는 축제로, 잭오랜턴, 해골 등의 상징과 함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이민자들에 의해 미국으로 전파된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지만, 종교적 및 문화적 해석은 다양하다.
윌리엄 모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87년 프레데릭 홀리어 촬영 윌리엄 모리스
윌리엄 모리스 (1887년, 프레데릭 홀리어 촬영)
이름윌리엄 모리스
출생일1834년 3월 24일
출생지월섬스토, 에식스, 잉글랜드
사망일1896년 10월 3일
사망지해머스미스, 잉글랜드
배우자제인 버든 (1859년 결혼)
자녀제니 모리스
메이 모리스
서명
교육엑스터 칼리지, 옥스퍼드
직업섬유 디자이너
시인
번역가
사회주의 운동가
알려진 업적벽지 및 섬유 디자인
판타지 소설
중세주의
사회주의
주요 작품뉴스 프롬 노웨어
세상의 끝의 우물
참고 자료
테이트윌리엄 모리스 1834–1896

2. 출생과 성장

1834년 런던 북부 월섬스토에서 증권 중개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투자로 큰 재산을 얻었지만, 모리스가 13세 때 사망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성직자가 되기를 희망했으나, 존 러스킨의 저서를 읽고 큰 영향을 받았다. 성인이 되어 아버지의 유산을 상속받은 후, 친구 에드워드 번 존스 등과 프랑스 여행을 통해 예술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1856년 건축가 스트리트(Street)의 사무실에 들어가 필립 웹을 만났으나, 이후 인테리어 장식과 시집 자비 출판 등에 힘썼다.

1859년 제인 모리스와 결혼하고, 이듬해 필립 웹이 설계한 신혼집 레드 하우스로 이사했다. 제인은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를 비롯한 라파엘 전파의 모델이었으며, 그곳에서 모리스와 만났다. 그러나 레드 하우스는 교외에 있어 제인이 외로움으로 신경증을 앓게 되자 몇 년 후 이사했다.

2. 1. 청소년 시절 (1834-1852)

윌리엄 모리스는 1834년 3월 24일 월섬스토 (당시 에식스, 현재 런던 월섬 포레스트 구)의 엘름 하우스에서 태어났다.[42] 아버지 윌리엄 모리스 시니어는 부유한 사업가였으며, 어머니 엠마 셀튼은 워스터 명문가 출신이었다. 모리스는 형제가 많은 대가족 속에서 성장했는데, 엘름 하우스를 떠나 우드포드의 우드포드 홀이라는 대저택으로 이사하기도 했다.[43]

여섯 살 무렵 모리스는 말을 타고 집 주변과 에핑 숲을 탐험하며 시간을 보냈고, 낭만적인 전원 풍경을 즐겼다.[44] 낚시와 토끼 사냥을 즐기고, 여러 교회와 성당 건축물을 찾아다니기도 했다. 특히 1842년 방문한 캔터베리 대성당은 그에게 가장 강렬한 인상을 남긴 건축물이 되었다.[45]

워터 하우스, 모리스의 어린 시절 집; 2012년에 개조되어 현재 윌리엄 모리스 갤러리를 소장하고 있다.


1847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가족은 월뎀스토우의 워터하우스로 이사했다.[46] 1848년 모리스는 말보로 칼리지에 입학했으나, 학교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고학고딕 건축에 관한 서적을 탐독하며 독학했다.[47] 다른 학생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학교 도서관에서 주로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1851년 가을, 학교 폭동에 연루되어 퇴학당한 후, 옥스퍼드 대학교 진학을 위해 가정교사에게 고전 등을 배웠다.[48]

23세의 윌리엄 모리스

2. 2. 옥스퍼드 대학과 사상 (1852-1856)

1853년 모리스는 목사가 되기 위해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했다. 대학에서 평생 친구가 된 화가 에드워드 번 존스를 만났는데, 번 존스는 모리스처럼 목사가 되기 위해 옥스퍼드에 온 청년이었다. 이들은 역사와 중세사 공부에 열중했으며 문학에 관한 관심사도 공유했다.[49] 모리스는 시를, 번 존스는 회화에 재능을 보였다.[50] 모리스는 번 존스를 통해 다른 친구들과도 교류했는데, ‘집단(set)' 또는 ‘형제단(brotherhood)’으로 불리는 모임에서 다양한 분야의 토론을 했다. 이들은 주로 종교 문제와 시, 사회문제, 공장법 등에 관심을 가졌으며 기독교 사회주의에도 주목했다. 초서, 셰익스피어, 밀턴 등 고전뿐 아니라 당대 사상가들이었던 셸리, 키츠, 칼라일, 러스킨 등의 작품을 읽고 토론을 벌였다.[51] 이후 모리스는 시와 예술에 빠져 예술에 매진하는 것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길이라고 생각하게 된다.[52]

모리스는 러스킨에게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고딕의 본질(The Nature of Goth-ic)》을 읽고 크게 감동을 받았으며, 나중에 “이 세기에 필연으로 나타난 가장 소중한 발언 중 하나”라고 평했다. 러스킨은 과거의 중세 장인들은 자유롭고 노동에 즐거움을 느끼며 고딕 건축을 만들었고, 산업혁명 이후 기계로 인해 노동자들이 노예로 전락한 점을 꼬집어 사회 문제를 비판하며 예술을 수단으로서 바로잡으려 하였다. 노동은 즐거움이어야 한다는 러스킨의 정신은 모리스의 평생 사상이 된다.[53]

1855년 모리스는 친구들과 함께 프랑스 북부를 여행하며 중세 성당을 방문하고 라파엘 전파 전시회도 둘러보게 된다. 모리스와 번 존스는 이 여행에서 종교가 아닌 예술의 삶에 전념하겠다고 다짐하며, 모리스는 건축가, 번 존스는 화가가 될 것을 결심하였다. 목사를 꿈꿔왔던 모리스의 신앙이 예술과 철학을 접하고 급격하게 허물어져 성직자가 되길 기대했던 모리스 가족에게는 큰 충격이었다.[54]

2. 3. 라파엘 전파와 결혼 (1856-1859)

모리스는 1856년 옥스퍼드를 졸업하고 건축가가 되기 위해 조지 에드먼드 스트리트의 제자로 들어갔다. 스트리트 사무실에서 이후 평생 친구가 된 필립 웹을 만났다.[55]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에게 매력을 느껴 반 아이크의 회화를 접하게 되면서 건축가에서 화가로 다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56]

로세티가 만든 라파엘 전파 모임에 가입한 모리스는 왕립 아카데미로 대표되는 전통적 화풍에 반대하여 자연 묘사의 복귀, 즉 라파엘 이전의 화풍으로의 복귀를 주장했다. 모리스와 번 존스는 『타임스 The Times』의 논쟁을 통해 라파엘 전파를 알게 되었고 이들과 깊은 유대를 가지며 1859년 초까지 활동을 이어나갔다.[57] 수준 높은 회화를 그리기 위해서는 그에 어울리는 환경에 거주해야 하며, 그에 맞는 건물과 가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 스스로 중세풍의 가구를 만들어나갔다.[58]

1857년, 옥스퍼드에서 로세티에 의해 발탁된 라파엘전파의 모델 제인 버든을 만난다.[59] 모리스는 제인 버든을 사랑했으나, 버든이 가난한 노동자 계급 출신이었기 때문에 그 당시 계급에 민감했던 빅토리아 사회에서 모리스 가족과 친구들은 두 사람의 결혼을 반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58년 제인 버든과 옥스퍼드의 한 교회에서 결혼하였다.[60]

3. 경력/명성

1861년 4월, 모리스는 로세티, 번-존스, 웹, 포드 매독스 브라운, 찰스 포크너, 피터 폴 마셜과 함께 장식 미술 회사인 모리스, 마셜, 포크너 앤 코를 설립했다.[1] 6명의 파트너와 함께 설립된 이 회사는 스스로를 "더 펌(the Firm)"이라고 불렀으며, 존 러스킨의 사상을 바탕으로 영국인의 생산 태도를 개혁하고자 했다. 이들은 장식을 미술의 한 분야로 재확립하고, 저렴함과 반 엘리트주의를 추구했다.[1] 런던 중심부 레드 라이언 스퀘어 6번지에 회사를 설립하고, 유스턴 로드에 있는 빈민 소년들을 위한 산업 홈 출신의 소년들을 고용하여 견습생으로 훈련시켰다.[2]

회사는 신고딕 디자인 사조를 따랐지만, 단순히 현대 건축 양식에 특정 고딕 요소를 포함시킨 조지 길버트 스콧과 같은 신고딕 건축가들과는 달리 중세 고딕의 장인 정신으로 완전히 회귀하려고 했다.[3] 더 펌이 제작한 제품에는 가구, 건축 조각, 금속 세공,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벽화 등이 포함되었다.[4] 특히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은 회사 초기부터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조지 프레데릭 보들리와 같은 건축가들이 의뢰한 신고딕 양식의 교회 건축과 개조가 급증하면서 수요가 많았다.[5]

모리스의 반 엘리트주의 정신에도 불구하고, 더 펌은 사우스 켄싱턴에서 열린 1862년 국제 박람회에 출품한 후 언론의 주목과 칭찬 메달을 받으며 부르주아 계층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게 되었다.[6] 그러나 신고전주의 건축 사조에 속한 기존 디자인 회사들로부터 많은 반대에 직면하기도 했다.[7]

모리스는 자신의 작품에 움직임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여 석판화와 회화를 서서히 포기하고, 1862년 이후로는 그림을 제작하지 않았다.[2] 대신 그는 벽지 패턴 디자인에 집중했는데, 첫 번째 작품은 1862년에 디자인된 "트렐리스(Trellis)"였다.

1862년 트렐리스(Trellis) 벽지 디자인
그의 디자인은 1864년부터 이즐링턴의 제프리 앤 코(Jeffrey and Co.)에서 생산되었다.[8] 한편, 모리스는 호가스 클럽, 중세 학회, 예술가 자원봉사단 등 다양한 단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9]

3. 1. 레드 하우스와 회사 (1859-1865)

1859년, 모리스는 친구 필립 웹에게 아내와 함께 살 신혼집 설계를 의뢰했다.[61] '레드 하우스'라고 불린 이 집은 외관은 중세 고딕풍이었지만, 내부는 실제 생활에 편리하도록 설계된 독창적인 집이었다.[62] 웹은 화려한 대저택 대신 중류 계급의 안락한 생활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했다.[63]

모리스는 신혼집 가구를 친구들과 직접 만들면서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 이를 바탕으로 1861년, 친구들의 이름을 딴 ‘모리스-마샬-포크너-회사(Morris Marshall and Faulkner Company)’라는 공예 회사를 설립했다.[64] 로세티, 번 존스, 필립 웹 등 7명이 공동 경영자로 참여했다. 이들은 기계로 만든 장식품을 비판하며, 예술가의 손으로 직접 생활용품을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벽화, 장식, 스테인드글라스, 가구 등 다양한 디자인 작품을 제작했다.[65] 모리스는 공예와 순수예술 사이에 차별을 두면 안 된다고 주장했지만, 로세티는 생각이 달라 회사 이름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 달라고 요청했다.[66]

1862년 만국박람회에 출품한 모리스-마샬-포크너-회사의 가구는 호평을 받으며 널리 알려졌다. 1866년에는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현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내장 공사를 맡으면서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67]

조지 프레데릭 와츠가 그린 윌리엄 모리스의 초상화, 1870

3. 2. 켈름스코트와 지상 낙원 (1865-1875)

로세티와의 불륜으로 모리스의 결혼 생활은 불행해졌다. 1869년 모리스는 제인 버든과의 관계 회복을 위해 독일 여행을 떠났지만, 제인 버든이 독일에서도 로세티와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모리스는 두 사람에게 동거를 제안했고, 이들은 옥스퍼드셔의 켈름스코트 매너 하우스(Kelmscott Manor House)에서 살게 된다.[69] 그곳은 모리스가 '지상낙원'이라고 부를 정도로 아름다운 곳이었지만, 아내의 불륜을 지켜보는 것은 괴로운 일이었다. 결국 1874년 모리스는 딸을 위해 둘에게 동거 생활을 정리하자고 제안했으며, 제인 버든은 로세티와의 관계를 이어나가다 수면제 복용으로 로세티의 정신이 불안정한 상태를 보고 이별을 결심한다.[70]

켈름스콧 저택 정문


1868년 모리스는 사랑의 고통을 잊기 위해 시 《지상낙원》을 썼다. 출판사가 나타나지 않자 《제이슨의 삶과 죽음》이라는 제목으로 재출판하였다. 당시 비평가들과 많은 대중에게 인기를 끌어 7판까지 발행되었고, 이 시대의 가장 유명한 시인이 되었다. 모리스는 시집 《지상낙원》을 위한 이야기를 수집하면서 1869년부터 아이슬란드 전설과 신화에 관심을 가지고 번역 활동을 이어나갔으며, 1871년 아이슬란드를 방문해 계급이 없는 평등한 사회를 경험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사회주의적 이상을 품게 되었다.[71]

모리스는 아이슬란드 문학에 큰 관심을 가지고 아이슬란드 신학자 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친분을 맺었다. 그들은 함께 에다와 사가를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 모리스는 또한 손으로 쓴 삽화가 들어간 필사본 제작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어 1870년부터 1875년까지 18권의 책을 만들었는데, 그중 첫 번째 책은 조지나 번 존스의 생일 선물로 완성된 ''시의 책(A Book of Verse)''이었다. 이 18권 중 12권은 ''검은 할프단'', ''용감한 프리티오프'', ''에이르의 거주민들(The Dwellers of Eyr)''과 같은 북유럽 이야기의 필사본이었다. 모리스는 서예를 예술 형식으로 여겼고, 로마체와 이탤릭체를 스스로 배우고 금박 글자를 만드는 방법도 익혔다. 1872년 11월에는 중세 웨일스어 문헌인 ''마비노기온''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시적 드라마 ''사랑은 충분하다(Love is Enough)''를 출판했지만, 번 존스의 목판화 삽화가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871년 초여름, 모리스는 아이들이 도시의 오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런던 외곽의 집을 찾기 시작했다. 그는 옥스퍼드셔주 켈름스콧 마을의 켈름스코트 저택에 정착하여 6월에 로세티와 함께 건물을 공동 임대했다. 모리스는 약 1570년에 지어진 이 건물을 매우 좋아했고, 현지 시골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반면 로세티는 켈름스콧에서 불행했고 결국 정신 붕괴를 겪었다. 모리스는 런던과 켈름스콧을 오가며 시간을 보냈지만, 로세티가 켈름스콧에 있는 동안에는 3일 이상 머무르지 않았다.

1871년 7월, 모리스는 제인과 아이들을 로세티와 함께 켈름스콧에 남겨둔 채 포크너, W. H. 에반스, 에이리쿠르와 함께 아이슬란드로 떠났다. 스코틀랜드 항구인 그랜턴에서 덴마크 우편선에 승선하여 페로 제도토르스하운을 거쳐 레이캬비크에 도착하여 하선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알싱 의장인 욘 시귀르드손을 만났고, 모리스는 아이슬란드 독립 운동에 공감했다. 그들은 아이슬란드 말을 타고 남쪽 해안을 따라 베르그토르스홀, 토르스뫼르크, 게이시르, 싱벨리르로 이동한 후 레이캬비크로 돌아와 9월에 영국으로 돌아갔다. 1873년 4월, 모리스와 번 존스는 이탈리아로 휴가를 가서 피렌체시에나를 방문했다. 모리스는 이탈리아를 전반적으로 싫어했지만 피렌체 고딕 건축에는 관심이 있었다. 그 후 7월에 모리스는 아이슬란드로 돌아와 이전에 방문했던 많은 곳을 다시 방문했지만, 북쪽으로 바트나 빙하와 플리오츠달루르로 향했다. 아이슬란드를 두 번 방문한 것이 그에게 큰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그의 좌파적 성향이 강화되었으며, 그는 이 여행을 통해 "가장 극심한 빈곤조차 계급 불평등에 비하면 사소한 악"이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3. 3. 정치적 수용과 고건축 보호 운동 (1875-1880)

1874년 모리스는 친구들과 함께 운영하던 '모리스 마샬 포크너 회사'를 청산하고, 자신의 온전한 모리스 회사(Morris and Company)를 설립했다. 1875년부터 필립 웹, 번 존스와 함께 스테인드글라스, 벽지, 날염 직물 등을 디자인하고 생산했다. 1877년에는 런던 옥스퍼드가에 매장을 열었고[72], 1880년까지 상류층과 중산층에게 인기를 얻으며 자리를 잡았다.

모리스는 발칸반도를 둘러싼 국제 분쟁 문제를 계기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876년 '동구문제협회(The Eastern Question Association)'에 가입하여 회계 담당자로 활동했다.[75] 그러나 이 협회가 선거권 확보에만 몰두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실망했다.[76]

당시 고딕 부흥주의자들이 고딕 건축을 복구하기 위해 파괴하는 것에 반대하며, 1877년 고건축 보호협회(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Ancient Buildings)를 창립하여 건축 복원으로 인한 피해를 막는 운동을 펼쳤다.[78] 이 협회는 지금까지도 환경과 생태 문제에 활발하게 기여하고 있으며, 모리스가 조직한 협회 중 가장 성공적인 정치적 활동으로 평가받는다.[79]

4. 이후의 삶

빅토리아 시대 영국은 산업혁명의 결과로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상품이 넘쳐났다. 반면, 과거의 장인들은 프롤레타리아가 되었고, 노동의 기쁨과 수공예의 아름다움을 잃어버렸다. 윌리엄 모리스는 중세를 동경하여 모리스 상회(Morris & Co.)를 설립하고, 인테리어 제품과 아름다운 서적을 만들어냈다(식물 무늬 벽지와 스테인드글라스가 유명하다). 생활과 예술을 일치시키려는 모리스의 디자인 사상과 그 실천(아츠 앤 크래프츠 운동)은 여러 나라에 큰 영향을 주었고, 20세기 모던 디자인의 원류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모리스는 프롤레타리아를 해방하고, 생활을 예술화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사회를 바꾸는 것이 불가결하다고 생각하여 마르크스주의를 열렬히 신봉하고, E. B. 벡스와 엘리너 마르크스(칼 마르크스의 딸) 등과 함께 행동했다. 헨리 하인드먼의 사회민주주의 연맹에서 엘리너 등과 탈퇴하여 1885년 사회주의 동맹을 결성했고, 이후 다시 엘리너 등과 탈퇴하여 해머스미스 사회주의 협회를 결성했다.

4. 1. 민주 연맹과 사회주의 동맹 (1881-1889)

모리스는 즐거운 노동을 통한 이상 사회를 꿈꾸며 민주 연맹에 가입하였다. 민주 연맹 초기 지도자였던 헨리 하인드먼과 함께 《알기 쉬운 사회주의(Socialism Made plain)》를 집필하였다. 1883년 책의 내용이 민주 연맹 대회에서 정식 정책으로 승인되었으며, 다음 해 하인드먼과 함께 해설한 《사회주의 원칙의 개요(A Summery of the Principles of Socialism)》을 집필하였다.[80]

1884년부터 민주 연맹은 사회민주연맹으로 명칭을 바꾸고 모리스는 노동자들이 많이 살고 있는 도시에서 강연을 벌였다. 연맹 창립 이후 다양한 노동자들의 욕구와 맞물려 노동 운동가들이 가입하는 등의 성과를 내면서 빠른 발전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하인드먼의 독재적 세력 확장으로 모리스는 1884년 연맹을 탈퇴하고 '사회주의 동맹(The Socialist League)'을 결성하였다.[81]

1885년 모리스가 편집장을 맡은 사회주의 동맹 발행의 《커먼웰(Commonweal)》이 노동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게 되어 월간지에서 주간지로 전환해 발행되었다. 커먼웰은 노동 운동을 하는 사회주의 운동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82] 모리스는 수많은 강연을 통해 사회주의 사상을 설파하였고 후에 연맹 가입자가 7백 명으로 늘어났다.

1885년부터 경찰이 점점 커져가는 사회주의 세력을 탄압하기 시작하였고 1886~1887년 실업자가 증가하면서 노동자들의 대규모 시위가 영국 곳곳에서 일어났다. 대표적인 사건으로 '피의 일요일' 이라고 불리는 이 시위는 폭압적인 경찰의 탄압으로 두 명이 사망하였다.[83] 거대한 군중의 시위에도 소수의 경찰에 무너지는 이 사건을 계기로 사회주의 연맹은 사회 혁명이 일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았고 모리스는 급진적인 동맹에서 장기적인 전략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84] 사회주의 동맹에서 탈퇴한 모리스는 '해머스미스 사회주의자협회'를 만들어 교육 활동에 전념했다.[85]

4. 2. 에코토피아와 모리스의 말년 (1889-1896)

모리스는 '예술을 위한 예술'에서 '민중예술'로 나아가며 이를 혁명의 수단으로 삼았다. 그는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비전을 제시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1890년에 출간된 《에코토피아 뉴스》는 100년 뒤 이상사회를 그린 유토피아 소설로, 사회주의동맹이 제시하는 미래 사회상을 보여주며 당시 사회 문제들을 비추어 꿈이라는 허상에 대입해 비판하였다. 어렵게 다가왔던 사회 혁명을 소설을 통해 전달하면서 대중들에게 비전을 제시하였다.[86]

모리스는 회의와 강연을 하며 생활 속 예술 활동을 이어나갔다. 사회주의 활동을 하지 않을 때는 벽지와 카펫의 도안을 그렸으며 시와 산문, 책 만들기 등 수많은 작품 활동을 하였다. 사회주의 활동을 떠난 이후에는 디자인 작업에 몰두하였으며 이후 많은 작품을 남겼다.[87]

1891년부터 모리스의 건강이 악화되었으나 연설 활동을 이어나갔으며, 그의 공식적인 연설은 1895년 러시아 출신 혁명가의 장례식에서 행한 것이 마지막 기록이 되었다. 1896년 10월 3일 62세에 사망하였고 모리스가 가장 사랑했던 켈름스코트 땅에 묻혔다.[88]

모리스 사망 후, 그의 영향을 받은 영국의 예술가들은 생활 예술을 통해 사회 개혁에 동참하고자 미술공예운동을 벌였다. 이후 130여 개의 각종 협회 및 단체가 미술공예운동을 표방하기 시작했으며, 이 운동은 아르누보 양식으로 이어지게 된다.[89]

5. 유산 및 영향

모리스(오른쪽)와 버니-존스, 1890


윌리엄 모리스는 19세기 영국에서 섬유 예술과 생산 방식의 부흥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8] 그의 회사의 제품은 전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생전에는 시인으로, 20세기 후반에는 벽지와 직물 디자이너로 주로 알려졌다.[4]

모리스 & 컴퍼니(Morris & Co.)는 모리스의 말년에도 계속 운영되었으며, 버니-존스가 디자인한 스테인드글라스 창문과 스탠모어 홀, 슈롭셔를 위한 성배 탐구를 묘사한 태피스트리 패널 등을 제작했다. 1884년 아트 워커스 길드가 설립되면서 모리스의 영향력이 커졌지만, 그는 사회주의 활동에 몰두하여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1888년 길드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892년에는 장인(master)으로 선출되었다. 예술 공예 전람회 협회에도 처음에는 지지를 표명하지 않았으나, 1888년 첫 전시회의 성공 이후 의견을 바꾸어 태피스트리에 관한 강연을 하고 1892년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모리스는 보존 운동에도 다시 집중하여 옥스퍼드의 세인트 메리 교회, 서퍽의 블라이스버러 교회, 피터버러 대성당, 루앙 대성당 등의 구조물 보존을 옹호했다.

모리스가 디자인한 켈름스콧 프레스 상표


모리스의 생산 윤리는 바우하우스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오염과 산업주의로부터 자연을 보호하려는 그의 열망은 녹색 운동의 역사가들에게 현대 환경 운동의 중요한 선구자로 여겨지게 했다.[9][10] 1891년 모리스는 사설 인쇄소인 켈름스콧 프레스(Kelmscott Press)를 설립하여 유명한 ''켈름스콧 초서''(Kelmscott Chaucer)를 출판했다.

모리스 사후, 아이머 발란스(Aymer Vallance)는 1897년에 그의 첫 번째 전기를 집필했고, 고대 건축물 보호 협회(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Ancient Buildings) 설립을 그의 가장 큰 업적으로 제시했다. 존 윌리엄 매케일(John William Mackail)은 1899년에 2권으로 된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Life of William Morris)''를 저술하여 모리스의 정치 활동을 크게 생략했다. 피오나 매카시(Fiona MacCarthy)의 전기 ''윌리엄 모리스: 우리 시대를 위한 삶(William Morris: A Life for Our Time)''은 1994년에 출판되었다.

2013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예술가 제러미 델러(Jeremy Deller)는 모리스를 주제로 한 대형 벽화를 선보였고,[12][11] 피오나 매카시는 2014년 국립 초상화 미술관에서 "무정부와 아름다움(Anarchy & Beauty)" 전시회를 기획했다.[12]

5. 1. 대한민국에의 영향

윌리엄 모리스의 사상과 작품은 대한민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디자인 철학은 한국의 전통 공예와 디자인에 새로운 영감을 주었으며, 사회주의적 관점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진보 진영에서는 윌리엄 모리스의 사상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예술과 사회 개혁 정신을 이어받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의 이름을 딴 '윌리엄 모리스 코리아'와 같은 회사들이 설립되어 그의 디자인을 활용한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6. 주요 작품

윌리엄 모리스는 시, 소설, 수필, 고대 및 중세 텍스트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24세에 첫 시집을 출판했고, 사망 당시에는 마지막 소설인 ''물결치는 홍수(The Sundering Flood)''를 집필하고 있었다.[4] 그의 딸 메이 모리스가 편집한 ''전집(Collected Works)''(1910~1915)은 24권에 달하며, 1936년에 2권이 추가로 출판되었다.

모리스의 주요 저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

윌리엄 모리스 저작 목록
제목출판 연도비고
빈 땅(The Hollow Land)1856
기네비어의 변호와 다른 시들(The Defence of Guenevere, and other Poems)1858
야손의 생애와 죽음(The Life and Death of Jason)1867
지상낙원(The Earthly Paradise)1868–1870
시집 (A Book of Verse)1870
사랑은 충분하다, 또는 파라몬드의 해방: 도덕극(Love is Enough, or The Freeing of Pharamond: A Morality)1872
볼숭 시구르드의 이야기와 니벨룽의 몰락(The Story of Sigurd the Volsung and the Fall of the Niblungs)1877
예술에 대한 희망과 두려움(Hopes and Fears For Art)1882
희망의 순례자들(The Pilgrims of Hope)1885
존 볼의 꿈(A Dream of John Ball)1888왓 타일러의 난 소재 소설
변화의 징후(Signs of Change)1888
늑대들의 집(The House of the Wolfings)1889
산의 뿌리(The Roots of the Mountains)1889
어디에도 없는 곳의 소식(News from Nowhere)1890
반짝이는 평원의 이야기(The Story of the Glittering Plain)1891
길에서의 시(Poems By the Way)1891
사회주의: 그 성장과 결과(Socialism: Its Growth and Outcome)1893어니스트 벨포트 백스와 공저
세상 너머의 숲(The Wood Beyond the World)1894
어린 크리스토퍼와 아름다운 골딜린드(Child Christopher and Goldilind the Fair)1895
세상 끝의 우물(The Well at the World's End)1896
놀라운 섬들의 물(The Water of the Wondrous Isles)1897
분열의 홍수(The Sundering Flood)1897사후 출판
왕의 교훈(A King's Lesson)1901
로맨스의 세계(The World of Romance)1906
사회주의자를 위한 노래 (Chants for Socialists)1935
황금 날개와 다른 이야기들(Golden Wings and Other Stories)1976
『그레티스 사가: 강인한 그레티르의 이야기』1869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함께 번역
『구늘라우그 벌레혀와 레이븐 스칼드의 이야기』1869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함께 번역
『볼숭가 사가: 볼숭족과 니벨룽족의 이야기, 고대 에다의 특정 노래와 함께』1870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함께 번역 (『볼숭가 사가』에서 발췌)
『세 가지 북유럽 사랑 이야기 및 기타 이야기』1875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함께 번역
『버질의 아에네이스 영어 번역』1876
『호머의 오디세이 영시로 영어 번역』1887
『플로루스 왕과 아름다운 제인의 이야기』1893
『고대 영어로 된 베오울프 이야기』1895
『고대 프랑스 로맨스 영어 번역』1896



모리스의 ''베오울프''는 고대 영어 시를 현대 영어로 번역한 최초의 번역본 중 하나이다. 다음은 그 일부이다.

'''그렌델이 헤오로트에 도착하다: 『베오울프』 710–714'''
고대 영어 원문모리스의 번역
Ðá cóm of móre     under misthleoþum안개가 자욱한 습지에서
Grendel gongan·     godes yrre bær·그렌델이 왔다. 신의 분노를 품고.
mynte se mánscaða     manna cynnes그 해악자는 인간들을 노리고
sumne besyrwan     in sele þám héan·높은 궁전에서 누군가를 잡아채려 했다.


  • ''고대 건축물 보호 협회(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Ancient Buildings)를 위한 강연: 예술에 관한 강의'' (모리스의 소예술 강의). 런던, 맥밀란, 1882
  • ''건축과 역사 & 웨스트민스터 사원''. 1884년과 1893년 고대 건축물 보호 협회에 발표된 논문. 치즈윅 프레스 인쇄. 런던, 롱맨즈, 1900
  • ''[http://digital.library.lse.ac.uk/objects/lse:qaz614yeh 공산주의: 강연]'' 런던, 패비안 협회, 1903
  • 관련: 윌리엄 모리스의 사회주의 일기(William Morris's Socialist Diary), 편집자 플로렌스 부스(Florence Boos). 초판. 저니맨 프레스(Journeyman Press); 개정판, 파이브 리브스 프레스(Five Leaves Press), 2018.
  • 「민중의 예술」(1879년 강연), 나카하시 카즈오 역, 이와나미 문고(복간 2020년 외). 구텐베르크21(전자책, 2021년부터).
  • 「민중을 위한 예술 교육」, 나이토 시로 역, 메이지도쇼, 1971년
  • 「존 볼의 꿈」(1888년), 후치 타케로 역, 미라이샤.
  • 「유토피아 편지」(1890년), 카와바타 야스오 역, 이와나미 문고, 2013년(전자책·2015년).
  • 「썬더링 플러드 젊은 전사의 로맨스」(유작), 나카토리 마사오 역, 신편: 헤이본샤 라이브러리(전자책·2014년)
  • 「이상적인 책」(말년의 강연·에세이집), 윌리엄 S. 피터슨 편, 카와바타 야스오 역, 쇼분샤, 1992년/신편: 치쿠마 가쿠게이 분고, 2006년
  • 『윌리엄 모리스 컬렉션』 전9권, 쇼분샤, 2000-2003년.
  • 「세계 저편의 숲」(신판) 오노 지로
  • 「존 볼의 꿈」 요코야마 치아키 역
  • 「빛나는 평원의 이야기」 오노 에츠코 역
  • 「유토피아 편지 또는 안락한 한 시대」 카와바타 야스오 역
  • 「세계의 끝의 샘」(상하) 카와바타 야스오·카네마츠 세이이치 역
  • 「신비로운 호수의 섬들」(상하) 사이토 쇼지 역
  • 「아이슬란드 여행」 오츠카 미츠코 역
  • 『지상의 낙원 봄부터 여름까지』, 『가을부터 겨울까지』, 모리마츠 켄스케 역, 오토바쇼보 쓰루미쇼텐, 2016-2017년. 장편 이야기시
  • 『사회주의 그 성장과 귀결』 E.B. 벅스 공저, 카와바타 야스오 감수, 쇼분샤, 2014년. 오우치 히데아키 감수
  • 『소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하여』 조가시 마치코 역, 세세라기 출판, 2019년
  • 『작은 예술 사회·예술론집 Ⅰ』 카와바타 야스오 편역, 겟요샤, 2022년. 강연집 8편
  • 속편 『Ⅱ 유용한 일과 무용한 노고』, 『Ⅲ 느릅나무 그늘에서』, 미간: 2025년 이후 예정

6. 1. 디자인

윌리엄 모리스는 생전에 가구와 관련된 600개 이상의 벽지, 직물, 자수 디자인, 150개 이상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디자인, 세 가지 서체, 그리고 켈름스콧 프레스를 위한 약 650개의 테두리와 장식품을 제작했다.[1] 그는 제품의 디자인과 생산이 서로 분리되어서는 안 되며, 가능한 한 제품을 만드는 사람들이 디자이너이자 장인이 되어 상품을 디자인하고 제조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강조했다.[2] 직물 디자인 분야에서 모리스는 여러 가지 잊혀진 기법들을 되살렸고,[2] 거의 모든 천연 염료와 수작업 가공을 사용하여 고품질의 원자재를 사용하는 것을 고집했다.[2] 그는 또한 자신의 디자인의 기초를 얻기 위해 직접 자연을 관찰했으며,[2] 디자인을 만들기 전에 생산 기술을 배우는 것을 고집했다.[2]

맥케일은 모리스가 "돈을 벌고 싶어서가 아니라 자신이 제조한 물건을 만들고 싶어서 제조업자가 되었다"고 주장했다.[7] 모리스 & 컴퍼니의 디자인은 영국의 상류층과 중산층에서 유행했으며, 전기 작가인 피오나 맥카시는 그것이 "지식인 계층의 안전한 선택, 정치적 올바름의 행위"가 되었다고 주장했다.[1] 이 회사의 독점적인 판매 포인트는 생산된 다양한 품목과 생산에 대한 예술적 통제라는 강조된 윤리였다.[1]

모리스의 중세 직물에 대한 선호도는 G. E. 스트릿과의 짧은 도제 수업 중에 형성되었거나 결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스트릿은 1848년에 "교회 자수"에 관한 책을 공동 집필했으며, 유행하는 캔버스 위의 울 작업을 버리고 오푸스 앵글리카눔을 기반으로 한 더욱 표현력 있는 자수 기법을 지지하는 확고한 옹호자였다. 표면 자수 기법은 중세 잉글랜드에서 인기가 있었다.[2]

그는 또한 손으로 묶은 페르시아 카펫을 좋아했으며,[2]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에 우수한 커먼 카펫을 구입하도록 조언했다.

모리스는 제조 사업의 필요한 부속물로서 염색의 실용적인 예술을 스스로 배웠다. 그는 스태퍼드셔 염색 공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그 예술의 과정을 숙달하고 오래된 방법을 되살리거나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는 실험을 했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 중 하나는 쪽염색을 실용적인 산업으로 복원하고, 마더에서 추출한 빨간색과 같이 아닐린에 의해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된 식물성 염료의 사용을 갱신하는 것이었다. 울, 실크 및 면의 염색은 그가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던 최고의 품질의 직조 및 인쇄 직물 생산에 필요한 예비 작업이었으며, 염료통에서 끊임없이 일하는 기간(1875-1876)은 그가 직물 생산(1877-1878)에 몰두했던 기간, 특히 카펫 직조를 미술로 되살리는 기간에 이어졌다.[2]

모리스의 직물 직조 패턴 중 일부는 일반적인 상업적 조건 하에서 기계로 만들어지기도 했는데, 여기에는 두 세트의 경사와 위사가 서로 연결되어 복잡한 색상과 질감의 변화를 만드는 복잡한 이중 직조 가구 직물이 포함되었다.[1] 모리스는 오랫동안 "가장 고귀한 직조 예술"이라고 불렀던 중세 방식으로 태피스트리를 짜는 꿈을 꾸었다. 1879년 9월 그는 "양배추와 포도"라는 작은 작품으로 자신의 첫 번째 독창적인 작품을 완성했다.[1]

'''대표적인 디자인'''

  • 벽지: 트렐리스, 데이지, 아칸서스 등
  • 직물: 딸기 도둑, 윈드러시 등
  • 스테인드글라스: 트리니티 교회(미국 보스턴) 등
  • 가구: 모리스 의자 등


윌리엄 모리스 회사의 직물 인쇄용 나무 패턴


딸기 도둑, 모리스 디자인 가구용 직물, 1883

6. 2. 문학

모리스는 대학교 재학 중 친구들과 함께 설립하고 자금을 지원했던 ''옥스퍼드 캠브리지 매거진(The Oxford and Cambridge Magazine)''을 통해 1856년부터 시와 단편 소설을 출판하기 시작했다.[5] 그의 첫 시집인 ''기네비어의 변호(The Defence of Guenevere) 및 기타 시(and Other Poems)''(1858)는 라파엘 전파 시집으로는 처음으로 출판된 책이었다.[5] 폭력적인 음울한 세상을 배경으로 한 어두운 시들은 비평가들로부터 냉담한 반응을 얻었고, 그는 여러 해 동안 더 이상 출판하지 못했다. 그 시집에 실린 시 중 하나인 "홍수 속의 건초더미(The Haystack in the Floods)"는 현재 그의 잘 알려진 시 중 하나이다. 몰락한 연인 제인(Jehane)과 로버트(Robert)가 비바람이 몰아치는 시골에서 마지막 이별을 하는, 100년 전쟁을 배경으로 한 냉혹한 현실주의 작품이다.[5] 초기의 사소한 시 중 하나는 오래된 프랑스 곡에 맞춰 쓰여진 크리스마스 캐롤인 "이 홀의 주인들(Masters in this Hall)"(1860)이다. 또 다른 크리스마스를 주제로 한 시인 "거리의 눈(The Snow in the Street)"은 ''지상의 낙원(The Earthly Paradise)''의 "태양의 동쪽과 달의 서쪽 땅(The Land East of the Sun and West of the Moon)"에서 각색한 것이다.

1868년 모리스는 아이리쿠르 마그누손(Eiríkur Magnússon)을 만나 그에게서 아이슬란드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1869년에 ''군라우그 웜텅(Gunnlaug Worm-Tongue)의 사가''와 ''그레티스 사가(Grettis Saga)''를, 1870년에는 ''볼숭과 니벨룽의 이야기''를 출판했다. 1873년에는 ''세 가지 북유럽의 사랑 이야기(Three Northern Love Stories)''라는 제목으로 추가 권이 출판되었다.[5]

생애의 마지막 9년 동안 모리스는 일반적으로 "산문 로맨스(prose romances)"라고 불리는 일련의 상상력 넘치는 소설을 썼다.[5] ''세계 너머의 숲(The Wood Beyond the World)''와 ''세계 끝의 우물(The Well at the World's End)''을 포함한 이 소설들은 판타지 소설 역사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진다. 이 작품들은 중세 로맨스 장르를 부활시키려는 시도였으며, 중세 산문을 모방하여 쓰여졌다.

1890년 1월부터 10월까지 모리스는 ''커먼웰''에 소설 ''어디에도 없는 소식''을 연재하여 신문의 판매 부수를 늘렸다. 1891년 3월 책으로 출판되었고, 1900년까지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스웨덴어, 독일어,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어 유럽 사회주의 공동체의 고전이 되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와 소프트 사이언스 픽션을 결합한 이 책은 현대 사회주의자 윌리엄 게스트가 잠들었다가 21세기 초에 깨어나 생산 수단의 공유 소유와 민주적 통제를 기반으로 한 미래 사회를 발견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사회에는 사유 재산, 대도시, 권위, 화폐 제도, 이혼, 법원, 감옥, 계급 제도가 없다. 이것은 모리스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사회주의 사회의 묘사였다.

모리스는 번역 작업도 계속했다. 1887년 4월 리브스 앤드 터너는 모리스가 번역한 호머의 ''오디세이'' 제1권을 출판했고, 11월에 제2권이 출판되었다. 모리스는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여 희곡 ''세상이 뒤집히다; 또는 눕킨의 각성''을 집필하고 주연을 맡았으며, 1887년 11월 연맹 회의에서 공연되었다.

모리스의 ''베오울프''는 고대 영어시를 현대 영어로 번역한 최초의 번역본 중 하나였다.

6. 3. 저술

윌리엄 모리스는 예술가일 뿐만 아니라 시, 소설, 수필, 고대 및 중세 텍스트 번역 등 다작의 작가였다. 24세 때 첫 시집을 출판했으며, 사망 당시 마지막 소설인 ''물결치는 홍수(The Sundering Flood)''를 다듬고 있었다.[4] 딸 메이(May)가 편집한 모리스의 ''전집(Collected Works)''(1910~1915)은 24권에 달하며, 1936년에 2권이 더 출판되었다.

모리스는 대학교 재학 중 친구들과 함께 설립하고 자금을 지원했던 ''옥스퍼드 캠브리지 매거진(The Oxford and Cambridge Magazine)''을 통해 1856년부터 시와 단편 소설을 출판하기 시작했다. 첫 시집인 ''기네비어의 변호(The Defence of Guenevere) 및 기타 시(and Other Poems)''(1858)는 라파엘 전파 시집으로는 처음으로 출판된 책이었다. 폭력적인 음울한 세상을 배경으로 한 어두운 시들은 비평가들로부터 냉담한 반응을 얻었고, 그는 여러 해 동안 더 이상 출판하지 못했다. 그 시집에 실린 시 중 하나인 "홍수 속의 건초더미(The Haystack in the Floods)"는 현재 그의 잘 알려진 시 중 하나이다. 몰락한 연인 제인(Jehane)과 로버트(Robert)가 비바람이 몰아치는 시골에서 마지막 이별을 하는, 100년 전쟁을 배경으로 한 냉혹한 현실주의 작품이다. 초기의 사소한 시 중 하나는 오래된 프랑스 곡에 맞춰 쓰여진 크리스마스 캐롤인 "이 홀의 주인들(Masters in this Hall)"(1860)이다. 또 다른 크리스마스를 주제로 한 시인 "거리의 눈(The Snow in the Street)"은 ''지상의 낙원(The Earthly Paradise)''의 "태양의 동쪽과 달의 서쪽 땅(The Land East of the Sun and West of the Moon)"에서 각색한 것이다.

1868년 모리스는 아이리쿠르 마그누손(Eiríkur Magnússon)을 만나 아이슬란드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1869년에 ''군라우그 웜텅(Gunnlaug Worm-Tongue)의 사가''와 ''그레티스 사가(Grettis Saga)''를, 1870년에는 ''볼숭과 니벨룽의 이야기''를 출판했다. 1873년에는 ''세 가지 북유럽의 사랑 이야기(Three Northern Love Stories)''라는 제목으로 추가 권이 출판되었다.

생애의 마지막 9년 동안 모리스는 일반적으로 "산문 로맨스(prose romances)"라고 불리는 일련의 상상력 넘치는 소설을 썼다. ''세계 너머의 숲(The Wood Beyond the World)''와 ''세계 끝의 우물(The Well at the World's End)''을 포함한 이 소설들은 판타지 소설 역사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진다. 이 작품들은 중세 로맨스 장르를 부활시키려는 시도였으며, 중세 산문을 모방하여 쓰여졌다. 에드워드 제임스는 이 소설들에서 모리스의 산문 스타일을 "영어로 쓰인 가장 서정적이고 매혹적인 판타지 중 하나"로 묘사했다.

엘 스프래그 드 캠(L. Sprague de Camp)은 모리스의 판타지가 완전히 성공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모리스가 후대의 많은 문학 기법을 피했기 때문이다. 특히 드 캠은 소설의 줄거리가 우연에 크게 좌우된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타지 분야의 많은 하위 장르가 로맨스 장르에서, 비록 간접적으로 윌리엄 모리스를 모방한 작가들을 통해서 비롯되었다.

던세이니 경(Lord Dunsany), E. R. 에디슨(E. R. Eddison) 및 제임스 브랜치 캐벨(James Branch Cabell)과 같은 초기 판타지 작가들은 모리스의 로맨스에 친숙했다. ''세계 너머의 숲(The Wood Beyond the World)''은 C. S. 루이스(C. S. Lewis)의 나니아 시리즈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지며, J. R. R. 톨킨(J. R. R. Tolkien)은 ''늑대들의 집(The House of the Wolfings)''과 ''산의 뿌리(The Roots of the Mountains)''에서 초기 게르만 생활에 대한 모리스의 재구성에 영감을 받았다. 젊은 톨킨은 ''늑대들의 집(The House of the Wolfings)''의 스타일로 ''칼레발라(Kalevala)''의 쿨레르보(Kullervo) 이야기를 다시 풀어보려고 시도했다. 톨킨은 그의 문학 작품의 상당 부분이 모리스의 초기 작품을 읽으면서 영감을 받았다고 생각했으며, 심지어 모리스의 작품을 능가할 수 없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간돌프(Gandolf)"와 실버팍스(Silverfax)라는 말의 이름은 ''세계 끝의 우물(The Well at the World's End)''에 등장한다.

헨리 뉴볼트 경의 중세 풍유적 소설인 알라도어(Aladore)는 모리스의 판타지의 영향을 받았다.[5]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또한 그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

1884년 12월, 모리스는 다른 사회민주연맹(SDF) 탈퇴자들과 함께 사회주의 연맹(SL)을 설립했다. 그는 어니스트 벨포트 백스와 함께 SL의 선언문을 작성하여 그들의 입장을 "혁명적 국제 사회주의"로 규정하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세계 혁명을 옹호하면서 한 나라의 사회주의 개념을 거부했다.

모리스는 연맹의 월간지(곧 주간지가 됨)인 ''영국 커먼웰''의 발행을 감독했으며, 6년 동안 편집장으로 재직하면서 재정적으로 안정을 유지했다. 1885년 2월에 처음 발행된 이 신문에는 프리드리히 엥겔스, 조지 버나드 쇼, 폴 라파르그, 빌헬름 리프크네히트, 카를 카우츠키와 같은 저명한 사회주의자들의 기고가 실렸으며, 모리스도 정기적으로 기사와 시를 기고했다. 그는 ''커먼웰''에서 파리 코뮌 시대를 배경으로 한 13편의 시로 구성된 연재 작품인 ''희망의 순례자들''을 발표했다. 1886년 11월부터 1887년 1월까지 모리스의 소설 ''존 볼의 꿈''이 ''커먼웰''에 연재되었다. 1381년 농민 반란 당시 켄트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은 강력한 사회주의적 주제를 담고 있었지만,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적 관점을 가진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어 1888년 리브스 앤드 터너에서 책으로 출판되었다. 그 직후 모리스의 에세이 모음집인 ''변화의 징후''가 출판되었다.

1890년 1월부터 10월까지 모리스는 ''커먼웰''에 소설 ''어디에도 없는 소식''을 연재하여 신문의 판매 부수를 늘렸다. 1891년 3월 책으로 출판되었고, 1900년까지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스웨덴어, 독일어,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어 유럽 사회주의 공동체의 고전이 되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와 소프트 사이언스 픽션을 결합한 이 책은 현대 사회주의자 윌리엄 게스트가 잠들었다가 21세기 초에 깨어나 생산 수단의 공유 소유와 민주적 통제를 기반으로 한 미래 사회를 발견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사회에는 사유 재산, 대도시, 권위, 화폐 제도, 이혼, 법원, 감옥, 계급 제도가 없다. 이것은 모리스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사회주의 사회의 묘사였다.

모리스는 번역 작업도 계속했다. 1887년 4월 리브스 앤드 터너는 모리스가 번역한 호머의 ''오디세이'' 제1권을 출판했고, 11월에 제2권이 출판되었다. 모리스는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여 희곡 ''세상이 뒤집히다; 또는 눕킨의 각성''을 집필하고 주연을 맡았으며, 1887년 11월 연맹 회의에서 공연되었다. 부패한 판사 앞에서 사회주의자들이 재판을 받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이야기는 수감자들이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의해 석방되는 것으로 끝난다.

다음은 윌리엄 모리스의 주요 저작 목록이다.

  • '''빈 땅(The Hollow Land)''' (1856)
  • '''기네비어의 변호와 다른 시들(The Defence of Guenevere, and other Poems)''' (1858)
  • '''야손의 생애와 죽음(The Life and Death of Jason)''' (1867)
  • '''지상낙원(The Earthly Paradise)''' (1868–1870)
  • 시집 (A Book of Verse) (1870)
  • '''사랑은 충분하다, 또는 파라몬드의 해방: 도덕극(Love is Enough, or The Freeing of Pharamond: A Morality)''' (1872)
  • '''볼숭 시구르드의 이야기와 니벨룽의 몰락(The Story of Sigurd the Volsung and the Fall of the Niblungs)''' (1877)
  • '''예술에 대한 희망과 두려움(Hopes and Fears For Art)''' (1882)
  • '''희망의 순례자들(The Pilgrims of Hope)''' (1885)
  • '''존 볼의 꿈(A Dream of John Ball)''' (1888)
  • '''변화의 징후(Signs of Change)''' (1888)
  • '''늑대들의 집(The House of the Wolfings)''' (1889)
  • '''산의 뿌리(The Roots of the Mountains)''' (1889)
  • '''어디에도 없는 곳의 소식(News from Nowhere)''' (1890)
  • '''반짝이는 평원의 이야기(The Story of the Glittering Plain)''' (1891)
  • '''길에서의 시(Poems By the Way)''' (1891)
  • '''사회주의: 그 성장과 결과(Socialism: Its Growth and Outcome)''' (1893) (어니스트 벨포트 백스와 공저)
  • '''세상 너머의 숲(The Wood Beyond the World)''' (1894)
  • '''어린 크리스토퍼와 아름다운 골딜린드(Child Christopher and Goldilind the Fair)''' (1895)
  • '''세상 끝의 우물(The Well at the World's End)''' (1896)
  • '''놀라운 섬들의 물(The Water of the Wondrous Isles)''' (1897)
  • '''분열의 홍수(The Sundering Flood)''' (1897) (사후 출판)
  • '''왕의 교훈(A King's Lesson)''' (1901)
  • '''로맨스의 세계(The World of Romance)''' (1906)
  • 사회주의자를 위한 노래 (Chants for Socialists) (1935)
  • '''황금 날개와 다른 이야기들(Golden Wings and Other Stories)''' (1976)
  • 『그레티스 사가: 강인한 그레티르의 이야기』(1869), 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함께
  • 『구늘라우그 벌레혀와 레이븐 스칼드의 이야기』(1869), 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함께
  • 『볼숭가 사가: 볼숭족과 니벨룽족의 이야기, 고대 에다의 특정 노래와 함께』(1870), 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함께 (『볼숭가 사가』에서 발췌)
  • 『세 가지 북유럽 사랑 이야기 및 기타 이야기』(1875), 에이리쿠르 마그누손과 함께
  • 『버질의 아에네이스 영어 번역』(1876)
  • 『호머의 오디세이 영시로 영어 번역』(1887)
  • 『플로루스 왕과 아름다운 제인의 이야기』(1893)
  • 『고대 영어로 된 베오울프 이야기』(1895)
  • 『고대 프랑스 로맨스 영어 번역』(1896)


모리스의 『베오울프』는 고대 영어시를 현대 영어로 번역한 최초의 번역본 중 하나였다.

'''그렌델이 헤오로트에 도착하다: 『베오울프』 710–714'''
고대 영어 운문모리스의 번역
Ðá cóm of móre     under misthleoþum    안개가 자욱한 습지에서
Grendel gongan·     godes yrre bær·    그렌델이 왔다. 신의 분노를 품고.
mynte se mánscaða     manna cynnes    그 해악자는 인간들을 노리고
sumne besyrwan     in sele þám héan·    높은 궁전에서 누군가를 잡아채려 했다.


  • ''고대 건축물 보호 협회(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Ancient Buildings)를 위한 강연: 예술에 관한 강의'' (모리스의 소예술 강의). 런던, 맥밀란, 1882
  • ''건축과 역사 & 웨스트민스터 사원''. 1884년과 1893년 고대 건축물 보호 협회에 발표된 논문. 치즈윅 프레스 인쇄. 런던, 롱맨즈, 1900
  • ''[http://digital.library.lse.ac.uk/objects/lse:qaz614yeh 공산주의: 강연]'' 런던, 패비안 협회, 1903
  • 관련: 윌리엄 모리스의 사회주의 일기(William Morris's Socialist Diary), 편집자 플로렌스 부스(Florence Boos). 초판. 저니맨 프레스(Journeyman Press); 개정판, 파이브 리브스 프레스(Five Leaves Press), 2018.
  • 「민중의 예술」(1879년 강연), 나카하시 카즈오 역, 이와나미 문고(복간 2020년 외). 구텐베르크21(전자책, 2021년부터). 기타 예술론은 Kindle판(전자출판)으로 번역본 있음
  • 「민중을 위한 예술 교육」, 나이토 시로 역, 메이지도쇼, 1971년
  • 「존 볼의 꿈」(1888년), 후치 타케로 역, 미라이샤. 왓 타일러의 난을 소재로 한 소설
  • 「유토피아 편지」(1890년), 카와바타 야스오 역, 이와나미 문고, 2013년(전자책·2015년). 구판은 마츠무라 타츠오 역/고토 시게·이이즈카 이치로 역, 츄코 클래식스(전자책·2014년)
  • 「썬더링 플러드 젊은 전사의 로맨스」(유작), 나카토리 마사오 역, 신편: 헤이본샤 라이브러리(전자책·2014년)
  • 「이상적인 책」(말년의 강연·에세이집), 윌리엄 S. 피터슨 편, 카와바타 야스오 역, 쇼분샤, 1992년/신편: 치쿠마 가쿠게이 분고, 2006년
  • 『윌리엄 모리스 컬렉션』 전9권, 쇼분샤, 2000-2003년.
  • 「세계 저편의 숲」(신판) 오노 지로 역
  • 「존 볼의 꿈」 요코야마 치아키 역
  • 「빛나는 평원의 이야기」 오노 에츠코 역
  • 「유토피아 편지 또는 안락한 한 시대」 카와바타 야스오 역
  • 「세계의 끝의 샘」(상하) 카와바타 야스오·카네마츠 세이이치 역
  • 「신비로운 호수의 섬들」(상하) 사이토 쇼지 역
  • 「아이슬란드 여행」 오츠카 미츠코 역
  • 『지상의 낙원 봄부터 여름까지』, 『가을부터 겨울까지』, 모리마츠 켄스케 역, 오토바쇼보 쓰루미쇼텐, 2016-2017년. 장편 이야기시
  • 『사회주의 그 성장과 귀결』 E.B. 벅스 공저, 카와바타 야스오 감수, 쇼분샤, 2014년. 오우치 히데아키 감수
  • 『소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하여』 조가시 마치코 역, 세세라기 출판, 2019년
  • 『작은 예술 사회·예술론집 Ⅰ』 카와바타 야스오 편역, 겟요샤, 2022년. 강연집 8편
  • 속편 『Ⅱ 유용한 일과 무용한 노고』, 『Ⅲ 느릅나무 그늘에서』, 미간: 2025년 이후 예정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William Morris 1834–1896 https://www.tate.org[...] 2021-06-24
[2] 웹사이트 Lithograph Archives - William Morris Gallery https://wmgallery.or[...] William Morris Gallery 2024-09-06
[3] 간행물 In Memory of William Morris 1896-11
[4] 서적 A Bibliography of William Morris British Library
[5] 서적 Xenograffiti: Essays on Fantastic Literature Wildside Press
[6] 학술지 The Kelmscott Press and William Morris: A Research Guid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09-01
[7] 학술지 William Morris, Artist, Poet, Craftsman 1896-11
[8] 서적 William Morris in the Twenty-First Century Peter Lang
[9] 서적 Green history: a reader in environmental literature, philosophy and politics Routledge
[10] 서적 Environmentalism: A Global History Longman
[11] 뉴스 Venice Biennale: Jeremy Deller's British pavilion declares war on wealth https://www.theguard[...] 2013-05-28
[12] 뉴스 William Morris: Beauty and anarchy in the UK https://www.theguard[...] 2014-10-03
[13] 뉴스 News from Waltham Forest http://arts.guardian[...] 2007-04-21
[14] 웹사이트 Welcome http://williammorris[...] 2018-08-10
[15] 웹사이트 The Oxford Union http://conference-ox[...] 2018-08-10
[16] 웹사이트 MORRIS, WILLIAM (1834–1896) & WEBB, PHILIP (1831–1915)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2-10-22
[17] 웹사이트 Emery Walker's House http://emerywalker.o[...] 2018-08-10
[18] 웹사이트 RIT Wins Auction of the Kelmscott-Goudy Press https://printinghist[...] 2013-12-10
[19] 웹사이트 Christie's to Auction Famed Kelmscott-Goudy Hand Press https://printinghist[...] 2013-10-16
[20] 뉴스 East London football club releases William Morris-inspired kit https://www.theguard[...] 2023-07-31
[21] 웹사이트 William Morris Gallery x Walthamstow FC - William Morris Inspired Football Kit by Admiral | D&AD Awards 2024 Pencil Winner | Applied Print Graphics | D&AD https://www.dandad.o[...]
[22] 웹사이트 Norfolk Churches http://www.norfolkch[...] 2024-11-21
[23] 웹사이트 Home https://allsaints-mc[...] 2024-11-21
[24] 웹사이트 How We Might Live: The Vision of William Morris http://www.lib.umd.e[...] University of Maryland Libraries 2013-03-01
[25] 서적 Six Views of William Morris Studies in Medievalism
[26] 서적 The Kelmscott Press
[27] 서적 William Morris
[28] 웹사이트 Merton Abbey http://www.morrissoc[...] 2008-08-22
[29] 웹사이트 William Morris and the Kelmscott Press http://www.alfredom.[...] 2008-08-22
[30] 서적 A History of British Socialism
[31] 서적 Life of William Morris
[32] 서적 Pioneers of Modern Design
[33] 서적 Pre-Raphaelites in Love
[34] 서적 Deaconess Gilmore S.P.C.K.
[35]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Socialism in Great Britain
[36] 서적 Marx-Engels Collected Works: Volume 48 International Publishers 2001
[37] 서적 William Morris
[38] 서적 ファンタジーの歴史 - 空想世界 東京創元社 2004
[39] 서적 図説 ファンタジー百科事典 東洋書林 2002
[40] 서적 図説 ファンタジー百科事典 東洋書林 2002
[41] 서적 ウィリアム・モリス : 近代デザインの原点 鹿島出版会 1996-10-10
[42]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43]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44]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45]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46]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47]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48]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49]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50]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51]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52]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53]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54]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55]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56]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57]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58] 서적 모던디자인의 선구자들 비즈앤비즈 2013
[59]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60]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61] 서적 모던디자인의 선구자들 비즈앤비즈 2013
[62]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63] 서적 모던디자인의 선구자들 비즈앤비즈 2013
[64]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65]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66]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67]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68]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69]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70]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71]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72]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73]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74]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75]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76]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77]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78]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79]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80]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81]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82]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83] 서적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84]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85]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86]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87]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88] 서적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89] 서적 런던에서 온 윌리엄 모리스 지콜론북 20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